생활-일상-정보 / / 2023. 11. 26. 12:02

가정용 1kw당 전기요금과 사용량별 전기요금 리스트 (feat. 전기요금 구조와 계산법)

 

 

     포스팅 목차

     우리가 사용하는 가전제품은 한 달에 얼마의 전기요금이 나올까요? 가정용 1kw당 전기요금을 안다면, 이를 바탕으로 전기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면 제품 구입 시 참고할 수 있으며, 전기요금이 많이 나오는 집의 경우 절약할 수 있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가정용 1kw당 전기요금을 알아보고, 전기요금 계산법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포스팅-썸네일
    < 썸네일 >

     

    1. 가정용 전기의 종류

     가정용 1kw당 전기요금을 알아보기 전에 가정용 전기요금의 종류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사실 한국전력(이하 한전)에서 공급하는 전기는 가정용 뿐만 아니라, 산업용, 농가용, 교육용 등 다양하게 있습니다. 우리가 집중해야 할 것은 "가정용"이기 때문에 가정용 전기 종류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가정용 전기(주택용 전력)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전기 요금은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사용처(한전 계약 형태)에 따라
          ✔️ 주택용 저압
          ✔️ 주택용 고압
     기본요금과 사용 요금
          ✔️ 기본요금
          ✔️ 사용 요금

    월별 누적 사용량 구간(누진단계)에 따라
          ✔️ 하계 전기요금 (누진단계별)
          ✔️ 기타 계절 전기요금 (누진단계별)

     

     

     

    1) 주택용 저압과 주택용 고압

     우선 우리 집 전기요금 단가의 기준은 한전과의 계약 형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여기서 고압과 저압의 차이는 간단하게 말하면, 한전에서 공급하는 전기가 한전이 관리하고 있는 "변전소 사용 유무"입니다.

     

     기본적으로 한국전력에서 보내는 전력은 초고압전력으로 흔히 말하는 "V"가 너무 높아 가정에서 바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가정용 전력은 220V) 따라서 근처 변전소로 보내지고, 변전소에서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220V로 낮추고, 이를 다시 각각의 주택에 보냅니다. 이러한 전력을 "주택용 저압"이라고 합니다.

     

     "주택용 고압"은 흔히 말하는 "고압아파트"의 계약 형태로, 한전에서 보내는 고압전력이 변전소를 거치지 않고 바로 아파트 내 변전실로 들어갑니다. 아파트 내에서 직접 한전으로부터 전력을 받아 전압을 낮춰 각 세대로 보내는 형태입니다. 이러한 경우 한전은 아파트 자체와 계약합니다. (아파트 내 세대별 계약이 아닙니다)

     

    2) 기본요금과 사용 요금

     전기 요금의 구성은 "기본요금"과 "전력량요금"입니다. 기본요금은 월간 누적사용량에 따라 기본적으로 부과되는 요금이고, 전력량은 사용한 전력만큼 부과하는 요금입니다.

     

     예를 들어 내가 "주택용 고압 전력"을 "하계"에 한 달 동안 250kW를 사용했다면, 기본요금과 전력량 요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본요금(730원) + 전력량요금(105원 x 250 kWh=26,250원) = 26,980원

     

     

    여기에 기타 세금 등을 합쳐서 부과됩니다. 이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다루겠습니다.

     

    3) 사용량에 따라 (주택용 요금 누진제)

     1973년 석유파동을 계기로 시행된 "주택용 요금 누진제"는 에너지 절약과 저소득층 보호를 목적으로 시행되었습니다. 월간 사용량이 누적되면서 일정 사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추가 요금"이 부여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누진세"죠.

     

     누진단계는 3단계까지 있으며, 이후로 "슈퍼유저요금"이란 단계가 있습니다. 이는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겨울보다는 여름에 "냉방"을 위해 훨씬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이죠.

     

    용도 하계
    (7월1일 ~ 8월 31일)
    기타계절
    (하계 기간 외)
    누진1단계 200kWh 이하 사용 300kWh 이하 사용
    누진2단계 201~400kWh 사용 301~450kWh 사용
    누진3단계 400kWh 초과 사용 450kWh 초과 사용
    슈퍼유저요금 1000kWh 초과 사용 1000kWh 초과 사용

     

     

    2. 전기요금 구조

     전기 요금 구조는 우리가 사용한 전력량 요금과 기본요금, 그리고 여기에 기후환경요금과 연료비조정요금을 더해 청구됩니다.

     

    전기요금구조
    < 전기요금구조 >

     

     그럼 최종적으로 우리에게 청구되는 전기요금은 어떻게 구성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기본요금 = 세대별로 부과되는 기본요금 (누진 단계별 차등)

    ✔️ 전력량 요금 = 내가 사용한 전력량만큼 부과되는 요금 (누진 단계별 차등)

    ✔️ 기후환경요금 = 신재생 에너지 보급과 화석에너지 감축등에 쓰이는 비용을 마련하기 위한 일종의 세금

        - 기후환경요금단가 = 9원/kWh (2023년 1월 기준, 매년 변동)

    ✔️ 연료비조정요금 = 국제 유류 가격이 변동함에 따라 반영되는 요금

        - 연료비조정단가 = 5원/kWh (2023년 4분기 기준, 매 분기 변동)
    ✔️ 총 청구 금액 = 전기요금 + 부가가치세 + 전력산업기반기금
        - 부가가치세(원미만 반올림) = 전기요금 x 10%
        - 전력사업기반기금(10원 미만 절사) = 전기요금 x 3.7% 

     

     

    3. 가정용 전기 계산 방법

     이제 위에 말씀드렸던 사항들은 한전에서 공시하고 있는 kWh당 전기요금에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가정용 1 kWh당 전기요금은 매년, 매분기 변동이 된다는 사실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계절별로 고압 주택 전력과 저압 주택 전력의 요금을 알아보고, 300 kWh를 사용할 경우의 전기요금을 알아보겠습니다. 300 kWh로 모의계산을 하는 이유는 서울시 평균 전력 사용량이 약 300 kWh이기 때문입니다.(2023년 7월~8월 기준)

     

     가구 평균 전력 사용량에 은 "한국전력 에너지마켓플레이스"에서 조회가 가능하니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하세요.

     

     

    1) 하계 주택용 전기 요금

    매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의 하계 주택용 전기 요금을 알아보겠습니다. 

    가정용 전력 구분 누진 구간 1kWh당 전기요금 기본 요금
    주택용 고압 1단계 120.0 원 910 원
    2단계 214.6 원 1,600 원
    3단계 307.3 원 7,300 원
    슈퍼유저 736.2 원 7,300 원
    주택용 저압 1단계 120.0 원 910 원
    2단계 214.6 원 1,600 원
    3단계 307.3 원 7,300 원
    슈퍼유저 736.2 원 7,300 원

     

     

    이를 기준으로 하계 기간 내 한 달 동안 300 kWh를 사용할 때의  전기요금 계산이 가능합니다. 예상 전기요금과 가정용 1kW당 전기요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고압주택 하계 1 kWh당 전기요금 (월 전력사용량 300 kWh)

    기본요금 + 사용량 요금 + 기후환경요금 + 연려비조정요금 + 부가세 + 기반기금
    = 730원 + 31500원 + 2700원 + 1500원 + 3640원 + 1340원 = 41,410원

      이 경우 가정용 1kw당 전기요금은 47,770 / 300 = 138원입니다.

     

    저압주택 하계 1 kWh당 전기요금 (월 전력사용량 300 kWh)

    기본요금 + 사용량 요금 + 기후환경요금 + 연려비조정요금 + 부가세 + 기반기금
    = 910원 + 36000원 + 2700원 + 1500원 + 4110원 + 1520원 = 46,740원

      이 경우 가정용 1kw당 전기요금은 46,740 / 300 = 156원입니다.

     

    하계 사용전력 별 전기요금 청구금액 표 첨부

     내가 사용한 전력만큼 전기요금을 계산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롭습니다. 다행히 한전에서 전력 사용량 별로 전기요금을 리스트업 하여 공유하고 있는데요. 아래 첨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압주택(하계)-사용량별-전기요금표.pdf
    0.16MB
    저압주택(하계)-사용량별-전기요금표.pdf
    0.16MB

     

     

    2) 기타 계절 주택용 전기요금

    가정용 전력 구분 누진 구간 1kWh당 전기요금 기본 요금
    주택용 고압 1단계 105.0 원 730 원
    2단계 174.0 원 1,260 원
    3단계 242.3 원 6,060 원
    슈퍼유저 601.3 원 6,060 원
    주택용 저압 1단계 120.0 원 910 원
    2단계 214.6 원 1,600 원
    3단계 307.3 원 7,300 원
    슈퍼유저 736.2 원 7,300 원

     

     

    이를 기준으로 하계를 제외한 기간 내 한 달 동안 300 kWh를 사용할 때의  전기요금 계산이 가능합니다. 예상 전기요금과 가정용 1kW당 전기요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고압주택 기타 계절 1 kWh당 전기요금 (월 전력사용량 300 kWh)

    기본요금 + 사용량 요금 + 기후환경요금 + 연려비조정요금 + 부가세 + 기반기금
    = 1260원 + 38400원 + 2700원 + 1500원 + 4380원 + 1620원 = 49,860원

      이 경우 가정용 1kw당 전기요금은 49,860 / 300 =166원입니다.

     

    저압주택 기타 계절 1 kWh당 전기요금 (월 전력사용량 300 kWh)

    기본요금 + 사용량 요금 + 기후환경요금 + 연려비조정요금 + 부가세 + 기반기금
    = 1600원 + 45460원 + 2700원 + 1500원 + 5120원 + 1890원 = 58,270원

      이 경우 가정용 1kw당 전기요금은 58,240 / 300 =194원입니다.

     

    기타 계절 사용전력 별 전기요금 청구금액 표 첨부

     하계와 마찬가지로 일일이 전기요금을 계산하지 마시고 아래의 기타 계절 사용전력 별 전기요금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압주택(기타)-사용량별-전기요금표.pdf
    0.16MB
    저압주택(기타)-사용량별-전기요금표.pdf
    0.16MB

     

     

    4. 가전제품 전기요금 확인 방법

     

     모든 가전제품에는 전력사용량이 나타나있습니다. 의무이기 때문에 이게 없다면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가전제품을 고르실 때 "에너지효율등급"이라고 들어보셨죠? 동일한 성능을 할 때 얼마큼 적은 전력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등급이 정해집니다. 1등급이 가장 좋죠.

     

     실제로 소모전력을 가지고 대강 한 달 전기요금 계산이 가능한데요. 아래의 두 제품을 볼까요?

    가전제품-전력소모량-표기

     

     왼쪽은 냉장고에 표기된 것이며, 오른쪽은 커피포트에 표기된 것입니다. 냉장고는 해당 브랜드에서 "월간소비전력량"을 표기해 주었습니다. 아무래도 매일 켜놓기 때문에 월간소비전력량을 기입하는 것이 가능하겠죠. 이에 반하여 커피포트는 사용량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정격으로만 표기되어 있습니다. 

     

     그럼 월간소비전력량이 표기되지 않은 제품들의 전기요금 계산을 해볼까요?

    ✔️ 1회 사용시 커피포트 평균 가동시간 = 2분
    ✔️ 하루 커피포트 평균 사용 횟수 = 3번

    ✔️ 소비전력 = 2.4kW

     

     

     이러한 가정으로 커피포트의 사용에 따른 월간 전기요금 계산은 아래와 같습니다.

    ✔️ 2.4kW x (2/60)h x 30일 = 2.4kWh = 약 252원

     

      순수한 "전력량 요금"은 2.4 kWh로 이는 한 달에 약 252원 정도 발생합니다. 기본요금과 기타 부가요금은 다른 것들과 합쳐지기 때문에 순수 "전력량 요금"만 살펴보았습니다.

     

    5. 전기요금 모의 계산기

      이렇게 제품별로 월간전력소비량을 계산할 수 있지만 상당히 귀찮죠? 전기요금은 앞서 첨부드린 요금표에서 찾아보실 수도 있고, 아래의 홈페이지에서도 전기요금 계산이 가능합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전기요금계산기-웹페이지 >

     


     오늘은 이렇게 가정용 1kW당 전기요금과 전기요금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기요금에 민감하신 분들에게 본 포스팅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남은 하루도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사용법으로 전기 요금 11% 절약 가능!

    매달 납부하는 전기 요금 중 11%는 대기 전력으로 낭비된 전력이라 합니다. 우리도 모르게 낭비되는 대기 전력에 대해 알아보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의 원리와 이

    somipapa.com

     

    전기요금 누진3단계와 고압아파트의 전기요금이 저렴한 이유 (feat. 전기요금 종류)

    전기요금폭탄이라는 말, 그리고 누진세를 뜻하는 누진 2단계, 3단계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또한, 고압아파트 혹은 저압아파트라는 말을 한번쯤 들어보셨을텐데요. 생각보다 전기요금이

    somipapa.com

     

    전기세 납부방법 총정리, 편의점 카카오페이 가능, 할인혜택 챙기세요

    전기세 납부방법이 다양하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편의점이나 카카오페이에서도 할 수 있습니다! 여태까지 지로 혹은 어플로만 납부하시는 분들께 다른 방법들도 있다는 것을 소개드리고

    somipapa.com